Tae Yeun Kim

로뎅갤러리의 나라 요시모토전 이후 '팝'열풍은 평창동 화랑가와 인사동을 휩쓸었다. 마치 이어달리기라도 하듯 '팝'이라는 바봉은 가나아트센터의 <Pop Pop Pop전>에서 세줄갤러리의 (Funny Funny TV전>으로 이어졌으며 지금은 갤러리 키미의 <팝.콘(POP iCON전>이 넘겨받았다. 인사동의 갤러리 쌈지에서는 팝아타의 선두주자 강영민의 <내셔널 플래그전>이 광복절 휴일을 맞아 인사동을 찾은 관객들을 맞이하였다. 아무리 들여다보고 귀기울여도 알아서 보고 가라는 듯이 아무 이야기도 해주지 않는 불친절한 전시 대신 TV나 만화에서 튀어나왔음직한 총천연색의 친근하고 세련된 이미지들이 관객들의 눈을 즐겁게 해주고 쉬지 않고 말을 걸어 주는 '친절한'전시는, 어렵다면서 발걸음을 안 하던 관객들을 전시장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였다.

 

지난해 여름 '게임'이라는 주제가 각종 대규모 전시의 키워드였고 다수의 관객을 동원하였다는 점을 상기해 볼 때, 얼마 전 해체한 그룹 '쿨'이 여름이면 총천연색 뮤직비디오와 함께 여름부누이기에 맞는 신나는 선곡을 내놓아 큰 호응을 얻은 것처럼 미술계에서도 여름이면 방학을 맞아 전시장을 찾는 학생들과 문화적 허기를 채울 거리를 찾아 나서는 관객들의 발길을 미술관으로 갤러리로 끌어들이기 위한 별식은 따로 있는 듯하다.

 

 

갤러리 키미의 <팝.콘.전>은 대규모로 '팝아트'의 거장들을 참여시킨 전시는 아니었다. 오히려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요즘 부각되는 젊은 작가라면 한번쯤 가졌을 법한 대안공간도 거치지 않은데다 특히 '팝'하면 떠오르는 '뻔;한 작가가 아닌 신진작가들이어서 이전에 치러진 '팝아트'의 진수성찬에 자칫 식상할 수도 있을 '팝'전을 'Pop'하게 만들었다.

 

이 전시는 또한 한국의 '팝아트'계보를 따져 보거나 서구 '팝아트'와의 영향을 재고하거나 염두에 둔 전시는 더욱 아니었다. 팝 아이콘을 전시명에서 강하게 부각시킨 이 전시는 팝 아이콘을 직설적으로 재현하는 작가들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산업사회의 풍요와 팽창된 이미지들 사이에서 거니는 젊은 작가들의 작품에서 팝 아이콘이 어떻게 자기화하여 나타나는지에 주목하였다. 그러니까 넓게 펼쳐서 여러 현상을 아우르는 것이 아니라 포커스의 폭을 좁혀 집중적으로 젊은 작가들을 조망하고자 한 것이다.

 

 

 

네 작가의 작업은 매우 다른 방식으로 팝 아이콘의 영향을 드러내고 있었다. 안두진은 특유의 밝고 경쾌한 형광색과 조야한 유기체를 결합함으로써 매끄럽고 반짝이는 대중매체의 이미지에서 물려받은 생생한 색채에 대한 기호를 보여주었다. 프라모델을 조립하고 남은 플라스틱 뼈대를 이용하여 신화의 한 장면 혹은 SF영화의 환상적인 장면을 연출한 최성록은 대량으로 생산되었다가 버려지는 산업사회의 이데올리기와 SF영화의 환상을 교묘하게 결합하였다.  한편 회화작업에서 김태연과 윤정원도 서로 다름 기호를 보여주었다. 김태연은 야쿠르트나 만화에 등장하는 소녀의 이미지 같은 일반적이지만 개인적인 경험이 결합된 아이콘을 등장시킨 반면, 윤정원은 철저히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수집한 가구들을 그림으로써 대중문화에 개인의 기호를 삽입하였다.

 

 

<팝.콘.전>은 이렇게 작가 개개인의 기호와 팝 아이콘이 결합하여 작업에 나타났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팝 아이콘을 전면으로 내세운 여타의 '팝'전시 행렬과는 차이가 있다.

 

 

 이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을 포함한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에 등장하기 시작한 작가들은, 1970년대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풍요, 식민통치와 제국주의와 같은 사회적, 정치적 이슈에 더 주목했던 선배 작가들과 달리 M-TV의 화려한 영상에 매료되었으며 텔레비전, 신문, 잡지, 인터넷이 끊임없이 제공하는 이미지들을 적극적을 자신의 작업에 끌어들여 매력적인 이미지들을 만들어 낸다.

 

 

 

대주을 사로잡는 감각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이 젊은 작가들의 작업이 여름 한철 별미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팝'이라는 키워드로 이 작가들을 하나로 뭉쳐 놓고 시각적인 면을 부각시키는 것에서 그치지 말고 이들의 작업을 종횡으로 가로지르는 대중문화의 영향을 다양한 맥락에서 들추어 보아야 할 것이다.

 

 

 

강성은.인사미술공간 큐레이터

∧  페이지 상단으로

All works © Tae Yeun Kim 2023.

Please do not reproduce without the expressed written consent of Tea Ye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