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e Yeun Kim
MENU v
Article v
클릭하면 해당 평론 또는 기사로 넘어갑니다
평론 _ 안소연
평론 _ 김복영
평론 _ 유진상
평론 _ 조경진
평론 _ 오세권
평론 _ 배명지
평론 _ 오선영
평론 _ 박영택
평론 _ 조동석
2021.11.14 충청투데이
2021.11.03 전남일보
2020.06.30 동아일보
2020.06.29 서울신문
2020.06.28 데일리한국
2020.06.27 뉴스1
2020.06.26 SBS CNBC
2020.06.25 파이낸스투데이
2020.06.23 데일리그리드
2020.06.19 세계비즈
2020.06.18 YBS 뉴스통신
2018.12.14 세계일보
2018.12.13 한경경제
2018.12.12 News 1
2018.12.12 서울신문
2018.12.11 정글
2018.12.07 매일일보
2017.12.13 News 1
2017.12.12 디오데오
2017.09.25 해외문화홍보원
2017.07.31 YTN
2017.07.20 경기일보
2017.08.10 GAS
2017.05.31 헤럴드 경제
2017.05.29 일요시사
2017.05.22 뉴스줌
2017.05.22 쿠키뉴스
2017.05.22 미래한국
2017.05.18 한국경제
2017.05.18 서울신문
2017.05.17 산업일보
2017.05.17 SBS CNBC
2017.05.16 한국사진방송
2017.05.16 이뉴스투데이
2017.05.16 KNS
2017.04.11 이뉴스투데이
2017.04.11 KNS
2017.04.11 시장경제
2017.02.03 미래한국
2017.02.03 ISNEWS
2017.02.03 아시아경제
2017.02.03 PAX Net
2017.02.03 G밸리뉴스
2017.02.03 한국사진방송
2017.02.03 이데일리
2017.01 과학창의
2016.12.23 ALICEONNET
2016.12.13 PUBLIC ART
2016.11.11 이데일리
2015.03.20 한국사진방송
ISSUE No.15 FALL 2014 spectrum
2010.03.29 해럴드 경제
2008.02.21 Korea Joongang
2006.03.17 Donga
2006.02.21 연합뉴스
''위드 코로나' 시대를 맞아 인간과 비인간 간 관계와 소통에 대한 화두를 던지는 전시회가 마련돼 주목을 끌고 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과 아시아문화원(ACI)은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통해 새로운 주체성을 모색하는 전시 '포스트휴먼 앙상블'을 5일부터 내년 2월 27일까지 ACC 복합 3·4관에서 개최한다.
'탈인간중심주의'를 의미하는 '포스트휴먼(Posthuman)'과 개체들이 모여 함께 조화를 이룬다는 '앙상블(Ensemble)'로 이뤄진 '포스트휴먼 앙상블' 전시는 인간이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인간이 아닌 개체들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한 고찰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국내외 작가 14명(팀)의 작품 25점을 프롤로그, 섹션 1·2·3, 에필로그로 구성해 선보인다.
프롤로그 '상상일기'는 전체 주제를 아우르는 상징적인 그림을 그린 루카스 실라버스(인도네시아)와 김제민이 채운다. 두 작가 모두 코로나 일상시대의 새로운 주체성에 대한 단상을 은유와 풍자로 보여준다.
실라버스는 포스트휴먼도 가족을 필요로 하며 인간이 향해 걸어가는 지향점은 가족임을 밝힌다. 혈연관계 뿐 아니라 친구, 파트너, 자연 안의 다른 존재들도 가족이 될 수 있음을 얘기한다.
김제민은 의인화된 잡초의 모습에 감정을 투영해 힘든 일상을 버텨가는 모습을 그렸다. 인간과 다른 종인 식물에 대한 연민을 불러일으킨다.
섹션 1, 2, 3 '다양한 비인간의 존재'는 이경하, 레나 부이(베트남), 김설아, 황문정, 김태연, 페이 잉 린(대만·네델란드), 로버트 자오 런휘(싱가포르), 양희아를 소개한다.
전시는 이들 작가를 통해 인간과 다른 존재인 비인간이 어떤 존재들인지를 인지하고, 인정해볼 것을 제안한다. 식물과 동물에서부터 너무 작아서 볼 수 없거나 보이지 않는 존재들까지 다양한 비인간들을 파악하고 우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지를 보여준다.
에필로그 '번역을 통한 비인간과의 소통&공감'은 새로운 비인간의 존재로서 인간의 감정을 제안한다. 뇌파측정기, 인공지능과 같은 기계를 통해 인간의 감정을 해석하고 여러 색과 궤적 등으로 번역, 치환해 밖으로 드러낸다.
장전프로젝트는 드론이 감정의 궤적을 따라 비행하는 '랜덤 포레스트'를 선보인다. 이스트허그는 굿에 즉흥적으로 참여해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는 '무감(無感)'이란 행위를 LED 대화형 미디어 구조물과 음악으로 재해석한다.
천영환의 작품 'into the mind'는 인공지능의 디코딩으로 타인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조은우는 관람객의 뇌파로 제어되고 완성되는 융합 설치 작품 'AI, 뇌파 그리고 도시 No. 2'를 내놓았다. 생체 신호가 데이터로 번역돼 다른 이에게 노출됐을 때 일어날 현상을 보여준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담당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주변과 공감할 수 있는 전시를 선보이게 돼 의미있게 생각한다"면서 "코로나의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관람객들이 많이 방문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ACC 누리집(www.acc.go.kr)에서 확인하거나 아시아문화원 전시기획팀(062-601-4527)으로 문의하면 안내 받을 수 있다.
∧ 페이지 상단으로
All works © Tae Yeun Kim 2023.
Please do not reproduce without the expressed written consent of Tea Yeun Kim